2021.09.01 음악춘추 9월호 춘추초대 / 문시은 바이올리스트 2021-11-02 |
|
![]() ![]() ![]() ![]() 춘추초대 2021 제12회 BMIMF 콘체르토 컴피티션 본선 진출자 바이올리니스트 문시은 부산에서의 첫 연주가 너무 설레고 기다려집니다
세계적인 음악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돋움이 될 부산마루국제음악제(BMIMF) 콘체르토 컴피티션에 역량 있는 음악인들이 참여했다. 영 아티스트 부문(경연일 기준 만 19세 이하)과 아티스트 부문(경연일 기준 만 20세 이상 만 35세 미만)으로 구분되어 진행이 되었다. 그중 예선을 통과한 플루티스트 이현주, 더블베이시스트 임채문, 플루티스트 류지원, 피아니스트 김찬이, 피아니스트 이정혁, 바이올리니스트 문시은, 마림비스트 강윤서가 오는 9월 15일 영화의전당 하늘연극장에서 열리는 ‘2021 BMIMF 콘체르토 컴피티션 갈라 콘서트’에서 지휘자 김경희가 이끄는 서울챔버오케스트라와 합을 맞추며 본선 경합을 벌인다. 본선 진출자 중 전체대상은 상금 2,000,000원 및 증서를 수혜 받는 영예를 얻으며 1등상, 2등상, 3등상, 특별상도 준비되어 있다. 이번 무대에서 J.Sibelius의 「Violin Concerto in d minor, Op.47 3rd mov.」를 연주하는 바이올리니스트 문시은의 본선 진출 소감을 들어보았다.
본선 진출 소감 평소 오케스트라와의 협연 무대를 항상 꿈꾸며 연습하면 너무나 신이 나는데 생각지도 못하게 본선 진출에 합격되었다는 소식에 너무 기쁘고 감사했습니다. 비록 어려운 상황 속에서 치러지는 음악제 연주지만 더 의미 있고 값진, 평생 기억에 남는 연주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습니다. 부산에서의 연주는 태어나서 처음인데 무대에서의 첫 연주가 너무 설레고 기다려집니다. 멋지고 신나는 연주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습니다.
참가 계기 코로나로 인해 계획했던 콩쿠르들과 연주회들이 많이 취소가 되어 속상해하고 있었는데 우연히 잡지를 통해 부산국제음악제 협연 콩쿠르를 알게 되었습니다. 늘 협연을 기대하며 연습했는데 이런 좋은 기회가 있어서 참가하게 되었습니다.
곡 선정 이유 바이올린 곡들 중에 해보고 싶고 좋은 곡들이 너무 많이 있고 과연 얼마큼을 다 해 볼 수 있을지도 궁금하지만 이 시벨리우스 콘체르토는 가장 해보고 싶은 곡 중 하나였습니다. 1악장의 심금을 울리는 강렬한 서정적 느낌과 대조적으로 3악장은 강렬한 리듬감과 에너지가 느껴지는 곡입니다. 매력적이면서도 테크닉적으로 굉장히 고난도의 곡으로 결코 쉽지 않지만 도전해보고 싶은 곡입니다.
연습 방향 시벨리우스 3악장 전체의 캐릭터라고 할 수 있는 리듬감과 다이내믹을 잘 살리며 연주하려고 합니다. 곡에 대한 이미지를 잘 살리려면 언제나 기본기 연습이 충실하게 되어야 할 것이고 여기에 저만의 음악적 상상력과 해석 음악적 스토리를 더해 멋진 열정적인 연주를 하고 싶습니다.
준비를 통해 느낀 점 워낙 좋아했던 곡이라 어떻게 무대에서 연주될지 스스로에게 많이 기대되고 설렙니다. 처음에 잘 해결되지 않던 어려운 부분들이 하나씩 나아지고 해결되어가는 순간들을 느낄 때 연습의 보람과 희열이 느껴집니다. 많은 에너지와 높은 테크닉의 완성도를 요구하는 곡이라 체력적으로도 심적으로도 부담이 살짝 있지만 혼자가 아닌 오케스트라의 다양한 여러 소리들과 어우러져서 서로 주고받는 연주를 할 생각에 신이 납니다. 완벽한 자기만족을 갖는 연주는 있을 수 없지만 그래도 스스로에게 칭찬해 줄 수 있는 연주를 준비해야 듣는 관객도 함께 감동 있고 즐거운 음악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결과를 얻기 위해 끊임없이 자신과의 외로운 싸움을 견뎌야 하고 때때로 예상치 못하게 몸에 부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이번에 손목에 문제가 생기면서 마음이 많이 힘들었는데 한 달여 동안 악기를 잡지도 못하고 이렇게 쉬어보기도 처음이었던 것 같습니다. 맘껏 연습할 수 없음이 답답하고 아프니 짜증도 나고 아직 다 회복된 상태가 아니라 불안하기도 하고 하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조금이라도 연습할 수 있도록 치료도 열심히 병행하는 중입니다.
감상 포인트 차가운 북유럽의 그림 속의 댄스파티랄까 혹은 북극곰들의 신나는 춤 같은 것도 상상되어지는 곡인데 이런 신나는 리듬과 에너지 열정이 잘 전달되는 연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무대 위에서 정말 음악에 빠져 맘껏 즐기고 그 에너지가 제 연주를 통해 관객들과 감정의 교감이 이루어져 오래도록 연주가 기억되고 싶습니다.
앞으로의 활동 계획 부산국제음악제 협연 후 서울에서 리움챔버오케스트라와 협연이 계획되어 있고 바로 예고 입시 준비를 해야 합니다. 엊그제 예원에 입학한 것 같은데 벌써 다시 입시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이 믿어지기 힘듭니다.
그 외 하고 싶은 말씀 어서 이 팬데믹 상황이 종료되어 맘껏 연주도 하고 외국 캠프며 콩쿠르들이며 자유롭게 오갈 수 있는 때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지금의 상황은 정말 음악가들에겐 너무나 고통스러운 때인 것 같습니다. 한 번도 상상해보지 못한 일이 벌어졌고 앞으로의 미래도 답답하고 알 수 없지만 음악을 전공하는, 사랑하는 학생으로서 음악으로 지친 마음을 위로해주고 저 또한 무대에서 맘껏 신나게 걱정 없이 마스크 없이 연주하고 싶습니다.
바이올리니스트 문시은 2006년 7월 서울 태생으로, 콘트라베이스 주자인 아버지와 바이올리니스트 어머니의 영향으로 생후 28개월부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스즈키 메소드에 의해 바이올린 교육이 이루어졌고, 2년 뒤 5세부터 Vivaldi violin 협주곡을 협연하기 시작하여 서초유스오케스트라, 수원시립교향악단, 청주 시립교향악단, 리움챔버오케스트라, 몰도바 국립방송교향악단, 필리핀 마닐라 주니어 오케스트라, 구리시 교향악단, 유벨톤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하였다. 또한 대전 현대 음악제에 초청되어 대전 예술의전당에서 솔로 연주를 하였으며, 서울과 베를린 필하모니홀에서 한국 스즈키 협회 20주년 기념 갈라 콘서트 협연을 하였으며 스즈키 국제 컨퍼런스 International Suzuki conference(마쓰모토 일본) 참가 대관령 국제 음악제 참여 및 연주를 하였다. 2019년 Tadeusz Wronski International violin competition Grand Prix(Poland) 및 폴란드 작곡가곡 최고연주가상, 부상으로 악기 받았다.(Tomas Madej) 폴란드 루블린 방송출연 연주, Leonid Kogan International competition Grand Prize(Belgium) 수상, 2017년 Anton Rubinstein International competition(Germany)에서 1등을 수상하여 Carlo Bergonzi 명기를 대여받았으며, 같은 해 American Protage International competition에서 1등을 수상하여 Carnegie hall에서 위너 콘서트를 갖고, Rising Stars International music competition에서 1등을 수상하여 Berlin Philharmonic Hall에서 winner 콘서트를 가졌다. 국내에서도 2021 음악춘추 콩쿠르 2위 세라믹팔레스홀 콩쿠르 1위 구리시 교향악단 콩쿠르 전체 대상 2019 서울시 전국학생 음악장학콩쿠르 서울시장상 , 리움콩쿠르 대상, 한국 음악협회 콩쿠르 1위 음연콩쿠르 1위, 한국 영재진흥원 콩쿠르 최우수, 육영 콩쿠르 금상, 서울 바로크 콩쿠르 1위 없는 2위, 예원 음악 콩쿠르, 성정 음악콩쿠르, 음악저녈 콩쿠르 2위, 한국일보 콩쿠르에 입상하여 실력을 인정받았다. 벨기에 브뤼셀에서 Sergei Khachaturian, Karen Aroutiounian, 클라라 주미 강, 고이치로 하라다 안드레아스 부샤츠, 슬라보미르 토마식의 Master Class에 참여하였다. 현재 서울 예원학교 3학년, 한국예술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이다. https://blog.daum.net/chunchu8/1094 |